제목이 이상하다. <돼지책>이라…….
돼지가 주인공인 책인가? 하지만 표지 그림에 그려진 건 돼지가 아니라 사람이다.
그런데 표지 그림도 이상하다. 보는 순간 숨을 몰아쉬게 된다.
"어휴, 정말 무겁겠다!"
한 여자가 자기보다 덩치 큰 남자와 사내 아이 둘까지 해서 셋을 업고 있다.
가냘파 보이는 여자가 남자 셋의 무게를 한꺼번에 짊어지고 있는 것이다.
힘겨워 보이는 여자와 아무 생각 없이 활짝 웃고 있는 남자 셋. 조금 알 것 같기도 한데…….
<돼지책>은 무슨 이야기를 담고 있을까?
진지한 주제와 재미있는 그림이 절묘하게 결합된 앤서니 브라운의 명작
표지 그림에서 언뜻 눈치챌 수 있었겠지만 <돼지책>은 가정 내에서 여성이 혼자서 짊어지고 있는 가사노동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어린이책에서는 보기 드물게 페미니즘의 입장에서 여성 문제와 가족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이다.
자칫 어린이책에서 표현하기 무겁게 느껴지는 주제라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작가 앤서니 브라운은 군더더기 없고 유머러스한 글, 치밀하게 계산되어 볼거리가 풍성한 그림과 화면 구성으로 진지한 주제를 설득력 있고 쉽게 전달하고 있다. 게다가 글과 그림에서 물씬 풍기는 유머와 위트는 그림책 읽는 재미를 한층 더해 줘 정말 완벽하게 매력적인 그림책이라 할 만하다.
세계에서 가장 탁월한 그림책 작가 중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는 앤서니 브라운은 작품의 내용과 그림에 있어 초현실주의적인 기법을 즐겨 사용한다.
이런 그의 방식은 그가 말하고자하는, 때로는 무겁고 진지한,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풍자나 역설을 그림책만이 보여줄 수 있는 기발한 상상력과 갖가지 즐거운 그림 요소로 절묘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돼지책> 역시 그의 이런 능력이 십분 발휘된 절묘하고 탁월한 작품이다.
그럼 <돼지책>의 어떤 점이 그렇게 매력적인지 작품 속으로 좀더 들어가 보자.
집안일은 당연히 여자가 해야 한다? -아내와 엄마라는 이름으로 강요된 희생
표지 그림에서 보았던 한 여자와 세 남자는 피곳 씨 가족이다.
"아주 중요한 회사"에 다니는 피곳 씨와 "아주 중요한 학교"에 다니는 두 아들은 집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늘 입을 크게 벌리고 아내에게, 엄마에게 빨리 밥을 달라고 요구하기만 한다. 모든 집안일은 피곳 부인 혼자의 몫이다.
피곳 부인 역시 직장에 나가지만 가족들에게 "별로 중요하지 않게" 여겨지는지 출근을 하기 전에도, 퇴근을 하고 나서도 집안일을 모두 혼자해야 한다.
아무도 도와주는 사람은 없다. 그렇다. 표지 그림은 여성에게만 부과된 가사 노동의 무게가 얼마나 무거운지를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던 것이다.
집안일은 당연히 여자의 일이라는 생각, 그래서 그 가치를 인정하기는커녕 누구도 신경조차 쓰지 않는 잘못된 고정관념에 대해 말하고 있었던 것이다.
아내와 엄마라는 이름에 가사 노동의 책임이라는 항목을 당연한 듯 집어넣고 희생을 강요하는 분위기. 결국 견딜 수 없었던 피곳 부인은 쪽지 한 장을 남기고 집을 나가 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