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퀵메뉴

퀵메뉴

퀵메뉴 닫기버튼
한국사 필수 시대, 세계사와 함께 이해하자!

한국사 시간에 세계사 공부하기

지식의사슬
ISBN 9788901283432
페이지수 232
판형 190*260mm
도서분야 청소년 > 교양/학습책 > 인문/역사/사회
책 소개

<한국사 시간에 세계사 공부하기>는 한국사와 세계사의 흐름을 한 권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이다. 한국사 전문가의 깊고 폭넓은 역사 지식으로 한국사와 세계사를 하나의 흐름으로 명쾌하게 해설하여 ‘세계사 속의 한국사’를 선명하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한국사의 전개 과정을 보편적인 세계사의 흐름에 맞게 고대사, 중세사, 근대사, 현대사로 구분하고 세계사의 해당 시기와 나란히 배치하여 맥락과 흐름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한국사와 세계사를 연결하는 23개 핵심 키워드는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와 함께 이해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배경지식을 쌓는 데 도움이 되는 용어 설명, 한국사와 세계사를 함께 담은 비교 연표를 제시하여 역사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1부. 한국사의 출발과 고대 세계 1장. 고인돌과 피라미드 | 국가의 탄생 2장. '동북아시아의 강국 고조선과 '중화 제국 '한나라' | 동아시아 질서의 형성 3장. 삼국 불교와 인도 불교 | 고대 국가와 종교 4장. '천하의 중심' 고구려와 분열된 중국 | 고대 동북아시아의 국제 질서 5장. 신라의 삼국 통일과 프랑크 왕국의 서유럽 통일 | 고대에서 중세로 2부. 고려ㆍ조선과 중세 세계 1장. '코리아'의 탄생과 세계 문명의 용광로 이슬람 문명 | 중세의 국제 교류 2장. 무신 정권과 세계의 무사들 | 중세의 봉건 영주 제도 3장. '자주국' 고려와 세계 제국 원 | 몽골 세계 제국의 시대 4장. '제후국' 조선과 '황제국' 명 | 중세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 5장. 조선 양반, 중국 신사, 그리고 서양 영주 | 중세의 사회와 경제 6장. 탕평 군주 영ㆍ정조와 절대 군주 루이 14세 | 동서양의 '절대 왕정' 7장. 조선의 대장간과 영국의 기계 공장 | 중세에서 근대로 3부. 개화기와 근대 세계 1장 조선, 중국, 일본의 개항 | 근대로 끌려 들어간 동양 3국 2장 김옥균의 삼일천하와 캉유웨이의 백일천하 | 서양 문물을 대하는 동양의 태도 3장 동학 농민 운동과 프랑스 혁명 | 근대의 사회 변혁 4장 한국의 3ㆍ1 운동과 인도의 비폭력 저항 | 평화적 반제국주의 운동 5장 한국의 신간회와 중국의 국ㆍ공 합작 |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의 연합 6장 한국의 광복군과 프랑스의 레지스탕스 | 반제국주의 무장 투쟁 4부. 남북한과 현대 세계 1장 한반도의 남북 분단과 세계의 동서 냉전 | 세계 대전의 종식과 냉전의 시작 2장 6ㆍ25 전쟁의 미군과 중국군 | 현대 세계의 체제 대결 3장 반공 기지가 된 남한과 제3 세계의 성장 | 냉전에 대한 두 목소리 4장 '한강의 기적'과 세계 경제 | 현대 자본주의 경제의 발전 5장 북한 현대사와 세계 사회주의 체제 | 사회주의 실험의 역사 역사 여행을 끝마치며
편집자 리뷰

“우리나라의 고인돌과 이집트의 피라미드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신라의 삼국 통일과 프랑크 왕국의 서유럽 통일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고려의 무신 정권과 일본의 무사 권력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동유럽 사회주의의 붕괴는 한국의 IMF 위기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우리 역사와 세계의 역사를 따로따로 배우는 방식으로는 이러한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 이 책은 한국사와 세계사 사이에 사슬처럼 얽혀 있는 연결 고리를 발견하여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내 우리 역사의 흐름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해 준다.  


통합 교과 시대의 통합적 교양인을 위하여

‘지식의 사슬 시리즈’는 사슬처럼 얽혀 있는 여러 지식의 연결 고리를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여러 지식을 통합하여 인식할 줄 알아야 온전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전제 하에 한국사와 세계사, 과학과 사회, 지리와 역사 등 서로 연관되어 있는 지식....

상세 이미지
김정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 입학하여 석사, 박사 과정을 마쳤다. 민족사관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서울대학교에서 한국현대사를 강의했다. 지금은 역사학연구소 연구원이며 한국 자본주의 역사를 공부하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글로벌 한국사 4』,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사』(공저), 『근현대사 신문 : 근대편』(공저) 등이 있다.

작가의 다른 책

  • 국사 시간에 세계사 공부하기
TOP